종합소득세는 국민들이 근로소득, 사업소득, 재산소득 등을 종합하여 납부하는 세금입니다. 이를 기한 내에 신고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발생하며, 기한 후 신고를 통해 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세금 신고를 무시하거나 늦게 하곤 합니다.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불이익을 당하지 않게 주의하세요.

 

종합소득세 가산세 요약표 >>

 

종합소득세 환급받기 >>

 

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는 법정 신고 기한인 5월 말까지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. 이때, 무신고에 따른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 가산세는 세액을 더 많이 내도록 하는 제재입니다. 기한 후 신고를 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

 

종합소득세 가산세 감면

 

신고기한에 따라 가산세 감면도 다르게 적용됩니다.

 

구분 환급 가능 여부 가산세 감면 비율
기한 후 신고 가능 10%
기한 후 신고 불이익 불가능 20 ~ 40%

 

- 1개월 이내 수정신고: 가산세 50% 감면

- 1~3개월 이내 수정신고: 가산세 30% 감면

- 3~6개월 이내 수정신고: 가산세 20% 감면

 

- 불이익 신고 및 납부를 1개월 이내 할 경우 50% 감면, 1개월 초과 3개월 이내의 경우 30% 감면,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의 경우 20%로 해당 기한만큼 감면 비율이 감소합니다.

 

 

- 환급 가능 :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를 하더라도 환급은 받을 수 있습니다. 다만, 기한이 지난 경우 지급 일정이 더 소요됩니다.

 

- 무신고가산세 : 기한을 놓쳤더라도 1개월 이내에 기한 후 신고를 하면 무신고가산세가 절반으로 줄어들게 됩니다. 납부세액의 20%가 아닌 10%로만 부담하시면 됩니다.

 

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

 

기한 후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시면 됩니다.

 

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 >>

 

  1. 홈택스 접속: 국세청 홈택스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.
  2. 본인인증: 본인인증을 진행합니다. 카카오톡, 금융인증, 휴대폰 인증 등 편한 방법으로 1분 내에 인증할 수 있습니다
  3. 종합소득세 신고 진행: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선택한 후 근로소득 신고를 클릭합니다
  4. 기한 후 신고 선택: 정기신고 옆에 있는 "기한후신고"를 눌러줍니다
  5. 연도 선택: 본인의 주민등록번호를 확인한 후 조회를 원하는 연도를 선택하고 조회를 누릅니다.

이렇게 하시면 기한 후 신고를 할 수 있으며, 환급 가능한 경우 신고 후 환급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 환급금은 보통 신고 후 납부까지 끝나는 5월 31일을 기점으로 30일 이내에 입금됩니다. 기한 후 신고한 경우 한 달 정도 걸릴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 방법은 홈택스, 손택스, 세무서 직접 방문을 통해 신고할 수 있으며, 11월 30일까지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가 가능합니다.

 

종합소득세 무신고 불이익 >>

 

  • 기한 후 신고 감면과 불이익

- 가산세 감면: 불이익으로 가산세가 발생하게 됩니다. 미신고 시 가산세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납부세액의 20%, 부정적인 경우에는 40%까지 추가 과세가 이루어집니다. - 납부 지연가산세: 신고는 완료했지만 납부를 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지연 가산세가 하루 0.022%가 부과됩니다.

 

 

기한 후 신고를 하지 않으면 이러한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해 빠르게 신고하는 것이 좋습니다. 기한 후 신고를 하면 가산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, 기한 후 신고를 마저 하지 않으면 가산세와 기준경비율 방식이 적용됩니다. 반드시 기한 내에 신고를 하시기 바랍니다.

 

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, 가산세 감면

  • 종합소득세 무신고 시 불이익과 가산세

- 가산세 :  무신고 가산세: 종합소득세를 무신고한 경우, 일반 무신고는 납부세액의 20%를 가산세로 추가로 내야 합니다. 복식부기의무자라면 세액의 20%와 수입금액의 0.07% 중에서 더 큰 금액을 납부해야 합니다.

 

- 부정 무신고 가산세 : 부정 신고 시에는 가산세가 더 높게 부과됩니다. 부정 무신고는 조세의 부과와 징수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하는 기타 부정한 적극적 행위가 있는 경우에 해당합니다. 가산세율은 40%에서 60%까지 다양하게 적용됩니다.

 

- 신용도 하락 : 세금 신고를 미루면 신용도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. 금융기관은 신용도를 평가할 때 세금 납부 여부를 고려하며, 무신고로 인해 신용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 

- 건강보험료 인상 : 종합소득세를 무신고한 경우 국세청에서 소득 추계를 통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고지하게 됩니다. 이 경우 낮은 경비율 적용, 각종 공제를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득이 높게 산출되어 건강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습니다.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

loading